2025.05.05 (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미디어 브리핑] AI와 초개인화, 2025년 디지털 미디어 새판짜기

 

 

나스미디어, 2025 디지털 미디어 전망 보고서 통해 산업 트렌드 예고

 

국내 대표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 기업 나스미디어가 28일 발표한 '2025년 디지털 미디어와 마케팅 전망 보고서'가 업계에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보고서는 AI 기술과 초개인화가 디지털 미디어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전망하며, 향후 미디어 소비와 광고 트렌드의 핵심 방향을 제시했다.

 

2025년 광고 시장,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성장 예상

 

나스미디어의 분석에 따르면, 2025년 광고 시장은 내수 부진 완화와 함께 완만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미디어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디지털 광고가 전체 시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동영상 소비 형태 변화: 세로형 영상과 CTV 광고 주목

 

이용자들의 동영상 소비 패턴 변화에 따라 세로형 동영상과 커넥티드TV(CTV) 광고상품이 새로운 주목받을 전망이다. 네이버와 카카오 같은 국내 플랫폼들은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세로 전면형 광고 지면을 개발하고, 새로운 수익 창출 모델을 모색 중이다.

 

5대 디지털 미디어 트렌드 집중 조명

 

1. 장소의 콘텐츠화: AI 기반 맞춤형 서비스 확대

지도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위치 기반 서비스가 AI 기술과 결합해 획기적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단순 이동 경로 안내를 넘어 사용자 맞춤형 정보와 마케팅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전망이다.

 

2. 산업 경계를 넘나드는 숏폼 콘텐츠

숏폼은 더 이상 단순 동영상 형식이 아닌 커머스, 콘텐츠, 음원 등 다양한 산업 영역을 아우르는 새로운 미디어 표준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마켓츠에 따르면 숏폼 산업은 연평균 25.6% 성장해 2026년에는 187조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3. OTT 2.0 시대: 차세대 광고·미디어 플랫폼으로 진화

성숙해진 OTT 시장은 기존 고객 유지와 매출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오리지널 콘텐츠 독점 경쟁과 함께 경매형 상품, 자체 광고 플랫폼 구축 등 수익 모델을 다각화하고 있다.

 

4. 엔터테인먼트화되는 커머스

유튜브와 메타는 한국 시장 특화 전략으로 쇼핑 채널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 역시 AI 기술을 접목한 초개인화 쇼핑 경험 제공에 힘을 쏟고 있다.

 

5. AI 검색과 AI 에이전트 시장 부상

생성형 AI의 실시간 검색 서비스가 검색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으며, 광고와 커머스 등 새로운 서비스 영역으로 확장 중이다. 개인형 AI 에이전트 시장도 일정 관리, 업무 지원 등 실용적인 서비스를 중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스미디어 강남구 미디어본부장은 "2025년은 AI가 디지털 마케팅과 미디어 산업 전반에 폭넓게 적용되어 디지털 광고 시장이 또 다른 도약의 해가 될 것"이라며 "이번 보고서가 미래 디지털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참고자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